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82)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동백꽃 동백나무 - 동백꽃 차나무과 속명 - 산다, 산다수, 남산다, 산다화, 동백유, 춘유 분포지 - 중부 이남지방 바닷가 지방과 서해, 남해, 울릉도 등의 각 섬지방의 바닷가 산기슭 숲 높이 - 7m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늘푸른 작은키나무) 개화기 - 12월~ 다음해 4월 꽃색 - 붉은색 결실기 - 다음해 10~11월 특징 -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동백나무의 꽃입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두꺼우며 윤이 납니다.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인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없습니다. 용도 - 관상용, 기름(씨), 약용(기름) 효능 한방에 따르면 동백꽃은 피를 맑게 하고 지혈과 이뇨 작용을 돕습니다. 동백꽃은 차나 술로 만들어 먹으면 되는데, 특히 위나 식도가 좋지 않을 때, 목이 아플 때 동백꽃을 ..
숙면을 위한 10가지 원칙은? 숙면을 위한 10가지 원칙은 무엇일까? 불면증의 가장 흔한 원인을 꼽자면 잘못된 수면 습관입니다. 잘못된 수면 습관을 하나씩 수정하고 건강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수면 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숙면을 위한 10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낮잠을 자지 않습니다. 밤에 충분히 자지 못해 낮에 피곤하고 졸려서 낮잠을 자게 되면 밤에 다시 잠을 못자게 되는 악순환이 생겨나므로 가급적 낮잠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낮잠 자는 습관이 있다면 매일 같은 시간에 자도록 합니다. 두번째,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수면 시간을 8시간으로 결정했으면, 잠을 잤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침대에 눕기 시작한 순간부터 8시간이 지나면 정확하게 딱 일어나서 침대를..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능소화 능소화(凌宵花) - 능소화 능소화과 속명 - 대화능소, 뇨양화, 양반꽃, 금등화, 나팔화 분포지 - 전국 각지 높이 - 10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잎이 지는 덩굴나무) 개화기 - 8~9월 꽃색 - 황홍색 결실기 - 9~10월 특징 - 중국 원산으로 꽃이 아름다워 조경수로 많이 심습니다. 용도 - 약용, 관상용 효능 능소화는 부인병에 널리 쓰이는 약재로 일찍부터 재배했으며, 줄기, 뿌리, 잎 모두 약재로 쓰입니다. 한방에서는 꽃을 능소화, 줄기와 잎을 자위경엽 뿌리를 자위근이라 합니다. 피를 맑게 하고, 어혈과 풍을 없애는 효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생리불순, 출산 후 산모의 몸이 좋지 않을 때, 풍기, 허리나 다리 마비, 춥고 열이 날 때, 통풍, 피부가 가려울 때, 목이 붓고 아플 때 약으로 처..
불면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불면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불면증은 일반적으로 평소 잠자는 시간이나 습관이 불규칙한 사람들에게서 생기는 경향이 뚜렷하며, 환경 변화와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불면증 증상이 악화되는 것입니다. 불면증 자체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경우에도 신경계가 긴장하여 불면증이 지속되고 심해질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는 생활습관 요인, 환경적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생활습관 요인의 대표적인 예로는 흡연과 음주,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음료, 불면증을 초래하는 약물 복용이 있고 잠자는 시간이 날마다 바뀌는 것과 하던 일이 변하는 것도 좋은 수면을 파괴하는 생활습관 요인입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자동차 소리, 비행기 지나가는 소리, 이웃의 ..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금강초롱 자반풍령초(紫斑風鈴草) - 금강초롱 도라지과 속명 - 금강사삼, 화방초, 금강초롱 분포지 - 중부 이북지방, 오대산, 설악산, 화악산, 금강산 산골짜기 숲 속 그늘 높이 - 30~90c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꽃색 - 자주색, 연한 하늘색 결실기 - 9~10월 특징 - 고산식물로 한국의 특산식물입니다. 전세꼐 2종이 있는데 모두 한국에 자생합니다. 용도 - 관상용, 식용(뿌리), 약용(뿌리) 효능 전초를 청열, 해독, 지통에 약으로 쓰입니다. 인후염과 두통도 치료하며 민간에서는 천식, 보익, 경풍, 한열, 편도선염 등의 약재로도 쓰입니다. *청열(淸熱) - 차고 서늘한 성질의 약을 써서 열증(熱症)을 제거하는 일. *해독(解毒) - 몸 안에 들어간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앰. *..
사랑의 호르몬 : 옥시토신 ② 옥시토신은 어떤 기능을 할까?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옥시토신을 본다면, 종족을 보존하게 해줄 뿐더러 남녀 모두에게 쾌락과 오르가슴을 느끼게 해주는 굉장한 물질입니다. 흥미롭게도 이 호르몬은 섹스 뒤에 두 사람 모두에게 깊은 유대감을 느끼게도 해주는 호르몬입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옥시토신은 사랑호르몬이라고 불리고 애착호르몬으로도 불립니다. 그렇게 불리는 이유는 옥시토신이 두 사람의 유대감을 강하게 해 출산 후 아이를 함께 돌보게 해주는 힘이 되고 분만을 유도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옥시토신이 관여하는 것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면 출산은 태아를 산도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으로 이때 자궁에서 질을 따라 태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자궁경부의 확장이 일어나야하는데 옥시토신이 태아가 좁은 질을 통해 밖으로 나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계수나무 계수(桂樹) - 계수나무 계수나무과 속명 - 연향수, 오군수, 백과, 자형수, 계수목 분포지 - 전국 냇가 등의 양지 바른 곳 높이 - 27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잎이 지는 큰 키 나무) 개화기 - 5월 꽃색 - 연한 홍색 결실기 - 10월 특징 - 일본 원산으로 토심이 깊고 사질양토로서 비옥하고 적윤한 토양에서 생장이 좋으며,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이남의 어디에서나 자라며고 생장이 매우 빠릅니다. 용도 - 관상용, 공업용, 약용 효능 계수나무의 가지는 온성으로 발한 작용이 있어 혈액순환 촉진, 이뇨작용, 여성의 생리불순에 효과가 있습니다. 민간요법 가지를 계지(桂枝), 나무껒질을 계피라고 하는데 특이한 방향(芳香)이 있어 향료의 원료로 널리 쓰입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
사랑의 호르몬 : 옥시토신 ① 옥시토신이란? 연인이나 부부 관계의 강력한 접착제 노릇을 하는 옥시토신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를 통해 혈류로 방출되는 호르몬입니다. 이 호르몬은 남녀 모두에게 작용해 안고 싶은 충동을 유발합니다. 포옹은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식 등 가족의 유대관계를 돈독하게 해주며 옥시토신은 동물에게 사랑과 행복을 안겨주는 화학물질입니다. 옥시토신은 남녀 사이의 친밀감을 느끼게 하고 정서적인 유대감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호르몬으로 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랑에 대한 감정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두 사람의 관계가 지속되면 옥시토신이 분비되면서 사랑하는 사람과 내가 하나가 되는 느낌을 받게 합니다. 포옹과 키스 등 신체 접촉을 하면 옥시토신의 분비가 급격히 늘어납니다. 출산할 때, 수유 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