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건강공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진단은 무엇으로 할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진단은 무엇으로 할까?


 

우선 코골이와 수면 무로릅은 병력으로 진단하게 되는데 본인이나 배우자 또는 가족들을 통해 증상을 듣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간에 얼마나 졸리는지에 대한 문진을 통해서도 코골이나 무호흡의 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신체검진으로 체중이나 BMI 지수를 측정하거나 외양 특히 얼굴과 목의 모양을 관찰하고 비강, 구강, 인두, 후두의 검진을 병행하여 주된 유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수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수면의 전 과정을 조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는 동안 호흡, 맥박, 코골이, 움직임, 뇌파, 혈중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하고 그 외에 기도의 폐쇄 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기도의 폐쇄 부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인두 섬유경을 이용하여 인두부에서 어느 부위가 막히는지를 직접 관찰하거나 방사선 투시 검사를 통해 확인합니다.

 

그리고 두개골 계측 방사선 검사로 뼈 부분의 해부학적 지표들을 파악하여 뼈의 구조적인 문제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수면 다원검사 시에는 코를 통하여 관을 거치하고 수면의 전 과정을 통해 어느 부위가 막히는지 추적하는 검사도 있습니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을 경험한 환자들이 병원에 내원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합니다.

 

1. 낮에 졸리는 정도의 확인(주간과다졸림증)

-책을 읽을 때 졸립니까?

-TV를 볼 때 졸립니까?

-회의나 극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졸립니까?

-휴식 없이 1시간 이상 차 안에 (승객으로) 앉아 있을 때 졸립니까?

-차 안에서 신호대기를 위해 잠시 정차했을 경우 졸립니까?

-오후에 쉬기 위해 누워있을 경우 졸립니까?

-앉아서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할 때 졸립니까?

-점심식사 후 조용히 앉아 있을 때 졸립니까?

2.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고위험군 해당 여부 확인

-체질량 지수(BMI) 35 초과의 비만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난치성 고혈압, 제 2형 당뇨병

-야간 심부정맥, 뇌졸중, 폐성 고혈압

-비만대사수술의 수술 전

3.신체계측검사

-체중

-체질량지수(BMI)

-목둘레

-상악, 하악의 전체적인 구조

4. 편도와 입 안의 관찰

편도가 클 수록, 목젖이 쳐질수록, 혀가 상대적으로 클 수록 코를 쉽게 골게 됩니다.

5. 굴곡형 비인두경

수면 시 막히는 부위를 미리 추정하기 위하여 비인두경(내시경)으로 확인을 합니다. 주로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 비강을 통해 내시경을 넣어 환자의 기도모양과 기도협착 부위 및 정도를 측정하고 기도의 허탈(안으로 무너지는 정도)을 확인 합니다.

6. 수면다원검사

수면무호흡의 심각도를 알 수 있으며 수면무호흡 질환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출입, 가슴과 복부의 호흡운동, 뇌파, 안구운동, 혈중 산소포화도, 심전도, 근전도 등의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면서 검사실에서 실제로 잠을 자면서 검사를 받습니다. 병원에 따라 휴대용 수면검사장비를 통해 환자의 집에서 환자가 스스로 검사를 하고 결과만 병원에서 분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분석

-수면 중 무호흡이 나타날 때 호흡 노력 자체가 없다면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으로 보아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로 연결됩니다.

-수면 중 무호흡이 나타날 때 호흡 노력이 있다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시사합니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합병증에는 무엇이 있을까?


 

 

증상이 조절되지 않고 장기간 무호흡이 지속될 경우 부정맥, 고혈압, 좌심실부전, 폐질환(호흡부전, 폐성심, 폐성 고혈압)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코골이가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발기부전 등의 성 관련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에 관한 질병으로는 불변증, 주간졸림증, 고혈앞, 당뇨, 부정맥, 심부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