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참느릅나무

 

랑유(榔榆) - 참느릅나무

 

느릅나무과

 

속명 - 추유(秋楡), 춘유(春楡)

분포지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의 냇가 근처

높이 - 10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9월

꽃색 - 황갈색 또는 노란색

결실기 - 10월

특징 - 열매가 거의 둥근 것을 둥근참느릅(for. cycloptera), 잎이 좁은 바소꼴인 것을 좁은참느릅(for. lanceolata)이라고 합니다.

용도 - 약용, 관상용

 

효능

 

옛날부터 종기, 위염, 위궤양, 치통, 창종 등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으며 임상적으로 위암이나 위통, 위궤양 등의 치료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민간요법

 

말린 유백피(나무껍질) 50~100g을 물 700ml에 넣어 열탕으로 반 정도가  되도록 달여서 하루 2~3회 나누어 복용합니다.

 

민간요법으로는 위염이나 위궤양의 치료에 유백피를 열탕으로 달여서 하루 2~3회 복용합니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말린 유근피와  옥수수수염을 각 40g씩 2리터의 물에 넣고 달입니다.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을 마십니다. 방광염이 있는 경우에도 말린 유근피와 옥수수수염을 각 30그램씩 물 300ml에 넣고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좋습니다.

 

그외의 참느릅나무에 관한 정보

 

냇가 근처에서 자라는 참느릅나무는 높이 10m에 달하고 작은가지에 털이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조각으로 갈라져서 떨어지며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 · 긴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로 양끝이 좁습니다. 잎가장자리에는 짧은 톱니가 있으며 털이 없고 윤기가 있습니다.

 

꽃은 9월에 피고 잡성(雜性)이며 황갈색입니다. 수술은 4~5개이며 꽃밥은 자황색입니다. 열매는 시과(翅果)로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연한 갈색으로 10월에 익습니다.

 

꽃은 화려하지 않아 쉽게 눈에 띄지 않지만 주변 나무들의 잎이 질 때쯤 가지에 다닥다닥 붙은 열매는 우리의 눈길을 붙잡습니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중앙에 종자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어 바람에 아주 잘 날려서 가을 바람에 날려 멀리 날아가 새로운 터전을 잡습니다.

 

참느릅나무는 느릅나무 중에서 '참'이라는 의미로 이름이 붙여졌는데 그만큼 유용성이 큰 생활 속의 자원식물입니다. 느릅나무 종류 가운데 유일하게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며 가장 온난한 지역에 분포합니다.

 

습기가 많고 비옥한 계곡이나 하천변에서 잘 자라지만 건조와 수분 스트레스도 잘 견디며 햇빛을 좋아하는 양수(陽樹)지만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 바닷바람, 공해에도 강합니다.

 

생명력이 강해서 땅속에 뿌리가 조금만 남아 있어도 새싹이 돋아나며 어릴때는 매우 빠르게 자라 줄기가 유연하고 밟아도 잘 부러지지 않습니다. 

 

어린잎과 껍질은 식용으로 이용하며 어린 가지 껍질은 질겨서 끈으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목재는 재질이 견고하고 무거워 기구재나 가구재, 차량재 등으로 이용됩니다.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낙엽 활엽교묙으로 아름답고 깔끔한 인상을 주는 나무입니다. 나무 껍질과 뿌리껍질, 줄기, 잎을 약용하며 맛은 달고 성질은 차가우며 독성은 없습니다.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당느릅나무 등의 나무껍질은 봄에, 뿌리껍질은 가을 이후~초봄 사이에 채취하여 생것으로 사용하거나 말려서 사용하고 어린 잎은 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랑유피라고 하며 성분은 점액질과 타님 그리고 식물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어 종기나 위염, 항염, 이뇨, 수렴, 항균, 구충, 지사, 정장, 습진 등의 치료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위통이나 위궤양, 위암, 신경통, 요통, 두통 등을 치료합니다.

 

위장병, 장염, 기관지염, 비염에 말린 것 2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시면 좋고 불면증에는 말린 것 1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시면 좋습니다. 기미, 주근깨에는 말린 것을 달인 물을 바르면 됩니다.

 

 


 

출처

 

참느릅나무 [Lacebark elm] (두산백과)

참느릅나무 [Chinese El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