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쥐꼬리망초

 

진교(秦艽) - 쥐꼬리망초


쥐꼬리망초과

속명 - 작상, 호자초, 서미홍, 소청, 망초, 쥐꼬리망풀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대개는 낮은 곳의 길가 초원이나 집 근처 빈터
높이 - 30cm 안팎
생육상 - 한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꽃색 - 연한 붉은 빛이 도는 자주색
결실기 - 9~10월
특징 - 마디가 굵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꽃은 아주 작은 편입니다.
용도 - 식용, 밀원용, 약용

 

효능

 


풀 전체를 류머티즘 등의 약으로 쓰입니다.

*류머티즘(rheumatism) - 뼈, 관절, 근육 따위가 단단하게 굳거나 아프며 운동하기가 곤란한 증상을 보이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한랭(寒冷)ㆍ습기(濕氣)ㆍ세균 감염 따위가 원인으로, 관절 류머티즘ㆍ근육 류머티즘ㆍ류머티즘열 따위가 있습니다.

 

 

민간요법

 


신경통 및 류머티즘에는 쥐꼬리망초의 줄기와 잎으로 생즙(生汁)을 내어 환부에 바르면 통증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풀 전체를 넣고 끓인 물에 목욕을 해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향토의학>

생잎의 즙(汁) 또는 말린 것을 달인 즙을 마시면 모든 풍혈을 고칩니다. <경험양방>

 

그외의 쥐꼬리망초에 관한 정보

 


쥐꼬리망초는 2월 12일의 탄생화로 가련미의 극치라는 꽃말을 가진 식물이다. 꽃향기가 강한 쥐꼬리망초의 꽃은 7~9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길이 2~5cm의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빽빽하게 달립니다.

포와 작은포 그리고 꽃받침조각은 좁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가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습니다.

쥐꼬리망초는 쥐꼬리망초과의 한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우리나라입니다. 쥐꼬리망초는 주로 중부이남 지방의 산기슭이나 길가의 후미진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가을 내내 부지런히 연한 자홍색 꽃은 피웁니다.

쥐꼬리망초의 꽃은 크기가 4~5mm에 불과해 쭈그려 앉지 않으면 모양을 살피기 힘듭니다. 게다가 잎도 작고 밋밋해서 흔한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낯선 이유입니다.

열매는 삭과이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4개에 잔주름이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인한 발열·해수·인후통에 효과가 있고 간경화·타박상·종기·이질에 사용하며 근육과 뼈의 동통을 제거해줍니다.

특히 통풍,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에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항균, 심박 조율 작용을 한다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가을이나 봄에 뿌리를 캐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하며 특이한 냄새도 있고 맛은 쓰면서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찹니다. 몸이 찬 사람은 주의해야합니다.

약리 실험에서 혈압 강하 작용, 장(腸) 연동 운동 억제 작용, 자궁 수축 작용이 밝혀졌습니다. 민간에서는 미친개에 물린 상처에도 쓰입니다.

쥐꼬리망초는 말린 잎을 기준으로 한번에 2~4g을 달여서 복용하고 신선한 잎을 짓찧어서 바르거나 붙입니다.

생김새는 원추형이고 윗부분은 거칠고 아랫부분은 매끈하며 바깥 면은 회황색으로 세로 또는 가로의 홈이 있습니다. 근두부는 팽대하며 여러개의 뿌리가 붙어 있고 짧은 섬유상의 유관속이 남아 있습니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부스러지기 쉬워서 꺾어지기 쉽습니다. 꺾은 면의 피부는 황색이나 황갈색이고 목질부는 황색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좌진구(左秦艽), 진교(秦膠), 진규(秦糾), 진조(秦爪), 진규(秦艽)가 있습니다.

쥐꼬리망초라는 독특한 이름은 쥐의 꼬리 모양을 닮은 꽃차례에서 유래합니다. 한방에서는 쥐꼬리망초를 작상(爵牀) · 진교라고 부르며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차이나·인도·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합니다.

쥐꼬리 망초의 꽃잎 위에는 안쪽을 향해 나뭇가지 모양의 흰 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벌들이 쉽게 꿀샘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허니 가이드(Honey Guide)입니다. 부지런히 꽃피우고 벌을 끌어들이니 쥐꼬리 망초가 전국 곳곳에서 번성하는 이유입니다.

 

 



출처

진교 [秦艽]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