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이삭여뀌

금선초(金線草) - 이삭여뀌


여뀌과

속명 - 적료, 모료, 이삭역귀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낮은 곳의 숲 가장자리 및 산골짜기 냇가 등
높이 - 50~80cm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꽃색 - 붉은색
결실기 - 10월
특징 -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긴 털이 있습니다. 꽃은 작고 이삭같이 달립니다.
용도 - 식용, 밀원용, 약용

효능


풀 전체를 민간에서 약으로 쓰입니다.

민간요법


신장병에는 이삭여뀌의 줄기를 그늘에 말려 잘게 썰은 다음 한줌(약 12돈)을 물 2~3홉에 넣고 차(茶)의 농도와 같이 될 때까지 달여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차(茶) 대용으로 계속 마시면 효과가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그 날 끓인 것은 그 날 다 먹고 이튿날은 다시 새것으로 끓여야 합니다. <다산방>

베인 상처를 잇고 허약한 신체를 보충하며 기력을 충만하게 하고 몸집을 좋게 합니다. <본경>

그외의 이삭여뀌에 관한 정보


산골짜기 냇가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이삭여뀌는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털이 납니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입니다.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지의 밝은 나무 그늘에 납니다. 공중습도가 높은 음지나 반음지를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끝이 좁은 잎에는 때로 검은 갈색의 반점이 있고 잎자루가 짧습니다.

꽃은 7~8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서 양끝이 좁은 달걀 모양입니다.


꽃차례 길이는 20~40cm이고 꽃은 성기게 달립니다. 꽃받침은 길이 2~3mm이고 4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습니다.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동그란 달걀 모양에 암술대는 2개입니다.

포기 전체에 진통과 지혈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통 그리고 위통 등에 사용합니다.

한국이 원산지로 대만, 일본, 중국 등지에 주로 분포하며 잎에 털이 적고 잎맥이 들어가지 않고 끝이 뾰족한 것을 새이삭여뀌(var. neofiliforme)라고 하며 남쪽에서 자랍니다.


새이싹여뀌는 이삭여뀌에 비해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 가지 않으며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습니다.

이삭여뀌는 반그늘이고 바람이 잘통하는 곳에 주로 심으며 10월에 받은 종자를 저장 후에 이듬해 봄 화단에 뿌리거나 새싹이 올라올 때 뿌리부분은 여러 개로 나누어 심으면 번식이 됩니다.

전초(全草)는 금선초, 뿌리는 금선초근이라고 하며 약용합니다.

Persicaria filiforme의 지상부로 풍습(風濕)을 제거하므로 사지(四肢)의 동통(疼痛)애 유효하며, 지혈작용이 있어서 각혈, 토혈에도 효능이 있는 약재입니다.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는데 때로는 생풀을 쓰기도 합니다. 말린 것은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 것을 사용합니다.

내과적인 질환에는 말린 약제를 1회에 4~6g 씩 200cc의 물로 천천히 달여서 복용하며 피부염인 경우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또는 말린 약재를 달여 환부를 자주 닦아냅니다.

주요 약효로는 풍습(습기로 인하여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병)을 없애주고 멍든 피를 풀어주며 진통, 지혈, 소종(종기를 가라앉힘)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용질환은 풍습으로 인한 통증, 요통, 관절통, 타박상, 위통, 월경통, 산후복통, 각혈, 코피, 혈변, 피부염 등에 쓰입니다.

담근술을 만들어 복용해도 좋으며 육류와 함께 약한 불에 볶아 먹어도 좋습니다. 육류의 누린내와 생선 비린내를 잡아 주기 때문입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합니니다.

여뀌에는 독성분인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전문가의 소견없이는 함부로 복용금지입니다. 민간에서는 독성이 있기에 여뀌를 짓찧어 물고기를 잡을 때 이용하기도 합니다.

여뀌를 짓이긴 즙을 물에 풀면 여뀌의 독성이 물에 섞여 작은 물고기들이 비실비실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물론 독성이 강하지는 않아 시간이 지나면 깨어나지만 힘이 없을 때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여뀌 속 식물은 30여 종이 넘습니다. 마디풀과의 이삭여뀌 유사종으로는 '겨이삭여뀌', '만주겨이삭여뀌', '벼들겨이삭여뀌', ' 새이삭여뀌'가 있습니다.


출처

이삭여뀌 (두산백과)
이삭여뀌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