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바디나물

 

 

일전호(日前胡) - 바디나물

 


미나리과

 


속명 - 전호, 독경근, 사향채, 입파근, 사약채, 바디
분포지 - 전국의 깊은 산골짜기 습기 있는 곳
높이 - 80~150cm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꽃색 - 짙은 자주색
결실기 - 10월
특징 - 뿌리 줄기가 짧고 뿌리가 굵으며 원줄기는 자주색이 돌고 굵습니다.
용도 - 식용, 약용

 

효능

 


뿌리 줄기를 감기, 정혈, 진통, 진정, 진해, 빈혈, 부인병, 두통, 이뇨, 간질, 건위, 가시, 익기, 치통, 통경 등의 약으로 쓰입니다.

 

 

민간요법

 


바디나물의 뿌리는 방향성으로 맛이 약간 쓴 편입니다.

주성분은 배당체, 노타케닌(Nodakein)으로 진통· 진해· 거담· 하열 작용을 하며 감기· 폐열 뿐만 아니라 진구· 건위를 위한 모든 약에 배합체로 씁니다. <약용식물사전>

전호는 성질이 미한하고 맛은 맵지만 독은 없습니다.

모든 허로를 다스리고 기(氣)를 내리며, 몸 속에 담이 찬 증상과 속이 막힌 증상을 다스립니다.

또한 기침을 그치게 하며 위(胃)를 열어 주고 음식을 내리게 합니다. <본초강목>

 

그외의 바디나물에 관한 정보

 


우리나라에서는 생치나물이라는 전호(Anthriscus sylvestris (L.) Hoffm.)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전남 신안군 대흑산도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바디나물은 일전호라고도 부르며 우리나라 곳곳의 산에 자생하지만 재배하지 않습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찹니다. 전호는 폐담이 쌓인 천식,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나오지 않는 증상, 발열, 해수, 두통에 쓰입니다.

약리작용으로는 기관지점액분비촉진, 관상동맹혈류량증가, 항유행성감기바이러스, 항궤양, 항경련, 항알레르기, 항암, 항균작용이 보고되어있습니다.

생김새는 방추형으로 근두부에는 줄기와 엽초가 남아 있는 것도 있으며 바깥면은 흑갈색이고 속은 황백색입니다.

위쪽에는 가로주름과 뿌리자국이 있습니다. 꺾은 면은 회백색이며 매끈하지만 속이 엉성한 것도 있습니다.


성분 중에는 노다케닌과 만니톨 정유가 함유되어 있어 해열, 해독, 진해, 거담, 진통, 익기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전호는 감기, 몸살, 정혈, 빈혈, 월경불순, 뇌압두통, 치통, 건위, 구역질, 부종 등을 치료해줍니다.


바디나물의 열매로 차를 끓여 마시기도 합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전호(全胡), 야근채(野芹菜), 수전호(水前胡)), 나귀채(羅鬼菜) 등이 있습니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편평한 타원 모양입니다.


산과 들의 습지 근처에서 주로 자라며 뿌리줄기는 짧고 뿌리가 굵습니다. 뿌리에서 나온 잎과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쌉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전호(前胡)라는 약재로 씁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꽃바디나물(for. albiflora)이라고 합니다.

흰꽃바디나물은 깊은 산 습기 있는 곳에 바디나물과 같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높이 80~150cm이고 바디나물과 같으나 다만 흰꽃이 피는 것이 다릅니다.

전호는 뿌리를 생약으로 쓰는 약용식물로 인식되고 있으나 울릉도에서는 늦가을부터 겨울 그리고 봄까지 새싹이 움터나오므로 어린순과 잎, 줄기 등을 산나물로 이용합니다. 미나리과 식물답게 독특한 향미가 있습니다.

전호잎은 당근과 흡사한데 연하기 때문에 꽃이 필때까지 연한 줄기와 순을 이용합니다.

전호는 생으로 또는 데쳐서 나물로 무치기도 하고 볶음이나 찌개, 국거리 등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뿌리를 채취하여 사용하면 좋고 봄부터 여름철에는 성분이 줄기와 잎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뿌리와 줄기 그리고 잎을 같이 먹으면 더욱 좋습니다.

뿌리를 생으로 먹거나 말려서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환을 지어먹을 수도 있고 생으로 쌈을 싸서 먹을 수 있으며 말려서 차(茶)처럼 끓여서 먹어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