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깽깽이풀

 

선황연(鮮黃連) - 깽깽이풀

 

매자나무과

 

속명 - 조황연, 상황련, 당황련, 토황연, 모황련, 양호이초, 조선황연, 황연, 천연

분포지 - 남부, 중부, 북부 지방의 산골짜기 낮은 곳

높이 - 25c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4~5월

꽃색 -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결실기 - 7월

특징 - 원줄기는 없고 뿌리 줄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나옵니다. 잎이 연잎을 축소한 모양 같아 황연이라 합니다.

용도 - 관상용, 약용

 

효능

 

뿌리 줄기를 이뇨, 하리, 당뇨, 임질, 건위 등의 약으로 쓰입니다.

 

*이뇨(利尿) - 오줌을 잘 나오게 함.

*하리(下痢) - 변에 곱이 섞여 나오며 뒤가 잦은 증상을 보이는 법정 전염병. 세균성과 원충성으로 구별합니다.

*당뇨(糖尿) - 소변에 당분이 많이 섞여 나오는 병. 탄수화물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단백질인 인슐린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으로 소변량과 소변보는 횟수가 늘어나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전신 권태가 따르는 한편 식욕이 좋아집니다.

*임질(淋疾) - 임균이 일으키는 성병. 주로 성교로 옮아 요도 점막에 침입하며, 오줌을 눌 때 요도가 몸시 가렵거나 따끔거리고 고름이 심하게 납니다. 여자는 동시에 방광염을 일으키며 내부 생식 기관에 염증을 일으키고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건위(健胃) -  위(胃)를 튼튼하게 함. 또는 튼튼한 위.

 

민간요법

 

복통과 설사에 깽깽이풀 뿌리 1~2돈을 물 2홉에 넣고 그 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1일 3번씩 식후에 데워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원래 위장이 약한 사람도 평상시 복용하면 위장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단방요법>

 

그외의 깽깽이풀에 관한 정보

 

산속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조선황련', '토황련'이라고도 합니다. 깽깽이풀은 잎보다 꽃대가 먼저 나오는데 봄이 되면 뿌리에서 꽃줄기가 올라와 끝에 꽃망울이 달리기 시작합니다.

 

산골짜기 중복 이하에서 자라는데 생육지로 약간 습윤하고 반그늘인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광선은 중생이고 내한성이 강합니다. 또한 비옥하고 보통인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체 수 급감으로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뿌리가 노랗고 잎의 형태가 연잎을 많이 닮아 '황련(黃蓮)' 또는 '조황련(朝黃蓮)'이라는 별칭으로 불립니다.

 

4~5월에는 홍자색 꽃이 피기 시작하는데 꽃은 꽃자루 끝에 한송이씩 달리며 꽃잎은 6~8개 입니다. 줄기는 따로 없으며 꽃이 피고 난 후에는 뿌리에서 잎이 나옵니다. 이른 여름인 6월이 되면 열매가 맺히는데 열매는 삭과이고 넓은 타원형입니다.

 

깽깽이풀은 가을이나 이른 봄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잘 말린 뒤 약재로 사용합니다. 보통 물에 달여 마시는데 해독작용, 해열, 위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방에서 모황련, 또는 선황련이라 하여 줄기와 뿌리를 생약으로 쓰입니다. 건위 및 지사작용, 입안이 허는 증상, 편도선염과 해열·해독효능이 있어 설사, 이질, 장염에 처방하며 안질 등에 외용하기도 합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한 깽깽이풀은 심경(心經) · 위경(胃經), 간경(肝經), 담경(膽經),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합니다. 약리 실험에서는 백색 칸디다와 일련의 피부 사상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나타냈습니다.

 

한국(경기도· 강원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중국 등지에 분포를 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심습니다.

 

깽깽이 풀은 한 포기에서 여러 송이 꽃이 피고 씨를 맺는데 번식은 그다지 왕성하지 않습니다. 깽깽이풀 씨눈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단맛이 들어있어 씨가 익을 때면 개미가 우글우글거리는데 떨어진 씨는 개미들은 물어다가 굴속 깊숙이 저장하는 바람에 싹을 틔우지 못해 번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잎과 꽆의 관상가치가 매우 뛰어나므로 지피식물을 비롯하여 화단식재용 또는 초물분재용 또는 초물분재 등과 같은 광상식물로 가치가 높습니다.

 

개화시기에 남획이 극심한 식물이므로 자생지에서의 소멸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생지의 철저한 보존은 물론 자생지 외 보존을 실시해야합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