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수리취

산우방(山牛蒡) - 수리취


국화과

속명 - 떡취, 산우방(山牛蒡), 개취, 흰취, 큰수리취, 왕수리취, 산우엉, 조선수리취 등
분포지 -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생
높이 - 40~100c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9~10월
꽃색 - 자주색
결실기 - 11월
특징 - 잎이 전체적으로 고른 색깔을 띠며 줄기가 억세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용도 - 식용, 약용, 공업용

효능


풀 전체를 지혈, 부종, 토혈 등에 약용합니다.

*지혈(止血) - 나오던 피가 멈춤. 또는 나오던 피를 멈춤.
*부종(浮腫) - 몸이 붓는 증상. 심장병이나 콩팥병 또는 몸의 어느 한 부분의 혈액 순환 장애로 생깁니다.
*토혈(吐血) - 위나 식도 따위의 질환으로 피를 토함. 또는 그 피.

민간요법


풍열을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합니다. 소염 작용, 이뇨 작용, 억균 작용이 있으며 감기로 기침이 나면서 열이 있을 때, 부종, 변비, 두드러기, 대하 등에도 쓰입니다.

그외의 수리취에 관한 정보


산지의 양지에서 자라는 수리취는 높이 40~100cm로서 윗부분에 2~3개의 가지가 갈라지는 식물입니다. 줄기는 자줏빛이 돌고 능선이 지며 흰털이 빽빽이 나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게 달립니다.

밑부분의 잎은 달걀 모양의 긴타원형이거나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표면에는 꼬불한 털이 있으나 뒷면에서는 흰색의 솜털이 빽빽이 나고 가장자리에는 일그러져 있는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좁은 날게가 있거나 없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지만 잎자루는 점차 짧아 없어집니다. 꽃은 9~10월에 피며 열매는 수과로서 11월에 익습니다.

떡을 해 먹는 취라고 떡취, 잎 뒷면이 흰색이라 흰취라고도 하는데 수리취의 잎 뒷면에는 하얀 솜털이 있어 뒤집어 보면 뽀얗습니다.

수리취의 어린 잎은 떡에 넣어 먹는데 특히 수리취를 넣어만든 수리취절편이 단오의 절식(節食)으로 유명합니다. '취'라는 글자가 붙은 것들은 대부분 먹을 수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부드러운 수리취 잎을 삶아 찬물에 여러 번 헹군 다음 체에 밭쳐 건지를 꼭 짜둔 것을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먹기도 합니다. 그리고 수리취와 오랫동안 불린 쌀을 함께 빻아서 시루에 쪄내면 맛있고 향긋한 떡이 됩니다.

독특한 향취가 입맛을 돋우며, 잎에 식품을 변질을 지연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수리취떡은 상온에 오래 두고 먹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나물로 무쳐 먹어도 좋고 큰 잎을 그대로 쌈으로 싸 먹기도 합니다. 또한 성숙한 잎은 말려서 부싯깃으로 사용합니다. 질기고 수분기가 적으며 잎 뒷면에 흰털이 가득해 불이 잘 붙는다고 합니다.

수리취는 취나물 중에 키가 커서 수리취라고 불리어지는데 정말 풀치고는 키가 큽니다. 1m를 넘기도 하는데 키만 큰 것이 아니라 모양이나 색깔도 개성이 넘칩니다.

가을이 되면서 꽃이 피기 시작하는데 꽃잎이 화려하지 않지만 꽃이 활짝피었을 때도, 열매가 익었을 때도 모습의 차이가 거의 없고 그 모양 그대로 겨울을 나기 때문입니다.

종류로는 큰수리취, 가새수리취, 국화수리취, 왕수리취 등이 있으며 수리취는 오래전부터 초록색을 내는 식용 색소로 이용되어 온 자원식물이기도 합니다.

잎이 깃처럼 갈라지는 것을 국화수리취(S. palmatopinnatifidus var. indivisa)라고 하는데 수리취에 비해 줄기가 가늘며 잎은 난상 장타원형입니다. 위로 갈수록 잎은 작아지고 화경이 가늘고 길며 총포편이 현저히 좁습니다.

중국에서는 수리취를 산우방(山牛蒡)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산에서 자라는 우엉이란 뜻입니다. 밭에서 심는 우엉을 우방이라고 부르는 데 약효도 우엉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효과가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종창, 부종, 지혈, 토혈, 안태, 이뇨 등에 이용하며 방광염을 비롯한 각종 암과 인후염,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뿌리는 강장 작용을 하며 사포닌 성분이 풍부한 씨앗은 청열해독, 소종작용을 하는데 하루 10~3g 달여 먹으면 나력(림프절에 생긴 멍울)을 치료한다고 합니다.

수리취의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합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 정상에서 초원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출처

수리취 (두산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