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건강공부

골절의 증상은?

 

 


골절의 증상은?


 

우리 몸에는 크고 작은 뼈가 200여개 정도가 있습니다. 이들은 근육과 힘줄로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뼈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뼈는 우리 몸 속의 장기들을 보호하고 혈액을 만들어 내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골절이란 외력(외부의 힘)에 의해 뼈가 부러지는 것을 의미하며 뼈의 연속성이 완전하게, 혹은 불완전하게 깨져서 끊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외력의 정도에 따라 뼈에 다양한 종류(횡형, 사선형, 나선형 등)의 골절선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골절선이 있는 경우를 분쇄 골절이라고 따로 분류합니다.

 

또한 뼈 주위 연부 조직(물렁 조직)의 손상도 불가피한데, 골절된 뼈가 피부 밖으로 튀어나온 경우를 개방 골절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장기(폐, 심장, 뇌 등)들은 손상 후 치유가 될 때 원래의 모양과는 다른 상처 조직으로 치유될 수 있고 원래의 조직으로 치유될 수도 있습니다.

 

뼈도 마찬가지로 골절이 된 후에 가골의 형성으로 원래의 모양과는 다른 상처 조직으로 치유될 수 있고 원래의 조직으로 치유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원래의 조직으로 치유되기 위해서는 골절부위가 잘 고정되어야 하며 충분한 혈액 공급과 적당한 자극이 주어져야 합니다.

 

뼈가 부러지면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동반되는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증 및 압통 : 골절 부위의 부기(종창), 근육 경련, 골막의 손상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고 골절 부위를 압박하거나 움직일 때 더욱 심해집니다.

정상 기능의 상실 : 골절된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흔들리고 주위 관절이 아파서 움직이지 못합니다.

골절로 인한 기형 : 팔, 다리의 모양이 변합니다.

부종 : 체액과 혈액이 손상 부위로 스며들어 팔, 다리가 붓습니다.

그 외에 감각 손상, 근육 경련, 마비 등이 올 수 있습니다.

 

 

 

 


 골절을 진단하는 방법은?


 

골절은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상태로 연령, 성별, 유전, 생활습관의 위험 요인들의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골절은 운동 경기나 낙상 중에 생길 수 있는 직접적인 충격이나 비트는 동작에 의해 유발됩니다. 주로 폐경기 이후의 여성들에게서 발생하고 골다공증이 있으면 골절이 잘됩니다.

 

종양 때문에 생기는 골절은 병적 골절이라 하는데 약간만 외상을 입거나 심지어 저절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인들이 가장 많이 골절되는 부위는 대퇴골의 경부와 팔꿈치 아래팔의 요골의 원위 말단부 손목입니다. 콜레 골절이라고 불리는 요골 말단부의 골절은 넘어지면서 팔을 뻗을 때 발생합니다.

 

골절의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하면, 의사는 환자의 증상을 기초로 진찰을 합니다. 진찰이 끝나고 단순 방사선 사진(X-ray)을 촬영하며, 필요 시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등의 특수 검사를 시행합니다.

 

먼저 골절 당시의 상황, 증상의 발생 시기와 심한 정도, 과거 병력, 일반 건강 상태 등을 의사에게 전달합니다. 특히 추락했다면 떨어진 높이, 교통사고를 당했다면 당시 차량의 속도 등을 자세히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 골절을 일으킨 외력의 크기는 뼈 손상 정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골절이 발생했을 때의 상황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골절에서는 골절로 인한 뼈의 지렛대 역할 소실로 인하여 기능에 문제가 일어납니다. 그러나 간혼 넙다리뼈, 목 부분의 불완전 골절 시 보행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닐 정도로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후에는 골절이 의심되는 부위의 통증과 압통, 기능 장애, 변형, 비정상적 움직임 등을 확인하고 특히 혈관이나 신경 손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단순 방사선 검사(X-ray)를 합니다. 골절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검사로 골절 형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며, 손상 부위의 위아래의 관절을 함께 촬영하여 동반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다친 부위 뿐만 아니라 다치지 않은 반대편 부위도 함께 촬영하여 비교합니다.

 

방사선 촬영은 촬영 각도가 서로 90도 교차되게 하여 두 번의 촬영이 필수적이며 필요에 따라 비스듬한 사진이나 특별한 위치에서의 촬영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기술적으로 불충분한 사진으로 결론을 내려서는 안되며 내원 당시에 골절선이 보이지 않았다고 골절이 아니라고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손배뼈 골절이나 피로 골절의 경우 상당한 시일이 경과한 후에 골절선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출처

 

골절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반응형

'건강·의학 > 건강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절 응급처치의 원칙이란?  (0) 2022.01.02
골절의 원인은 무엇일까?  (0) 2022.01.01
골절이란?  (0) 2021.12.27
어지럼증은 빈혈 때문?  (0) 2021.12.24
어지럼증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0) 20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