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건강공부

[공황장애] 공황장애 치료방법은?|공황장애 경과는 어떨까?

 


공황장애 치료방법은?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병행하여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물 치료와 인지행동 치료가 대표적인 치료방법이며, 치료 시 대부분의 환자가 극적인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가족 치료와 집단 치료도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약물치료의 목적은 공황발작의 반복을 줄이는 것인 동시에 공황발작이 발생할 것에 대한 불안, 우울증과 같은 공존 질환을 함께 치료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SSRI(selective serotonic reuptake inhibitor)와 같은 항우울제 약물과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항 불안제 약물이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증상만을 조절하는 약이 아니라 재발을 예방하고 완치를 하는 역할을 하므로 증상이 가라앉더라도 6-12개월 정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중요한 약물입니다.

 

약물치료를 유지하다가 충분한 기간이 되지 않은 채 중단할 경우 약 50% 이상의 환자들에서 공황발작이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약물 사용의 기간이 길수록 재발률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임의로 약을 중단할 경우에는 악화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약물 사용은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시행되어야 합니다.



인지행동 치료

 

인지행동치료는 왜곡된 생각을 교정해서 불안이나 공포감, 공황발작을 감소시키는 심리치료법입니다.

 

인지행동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각각의 단독치료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지 치료의 핵심적인 요소는 환자가 사소한 신체감각을 파멸이나 죽음과 같은 파국적 상황으로 잘못 인식하는 것을 교정하는 것과 공황발작이 일어나도 시간이 지나 없어지면 실질적으로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이 아님을 인지시키는 것입니다.

 

행동치료는 긴장을 이완시키는 근육 이완 훈련이나 호흡 조절 훈련을 포함합니다. 

 

또한 공황발작으로 나타나는 어지러움이나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등의 신체감각에 익숙해지도록 신체 감응 훈련을 합니다. 

 

이러한 인지행동치료를 배우고 실생활에 활용하면 자신의 몸과 마음에 대한 조절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정신치료

 

심층적인 상담 치료를 통해 공황 증상의 무의식적 의미에 대해 통찰함으로써 증상을 호전시킵니다.

 

 

 

 

 

 

 

 


공황장애 경과는 어떨까?


 

‘공황’이란 갑자기 심한 공포감을 경험하여 합리적 생각이 마비될 정도의 심한 두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교통사고 화재 등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의 상황에서는 정상 반응이라고 볼 수 있지만,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 같은 곳에서 공황발작을 경험한다면 불안반응이 오작동한 것으로 볼 수 있어서 공황장애로 의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공황발작을 호소하는 사람이 내원하면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약물과 내외과적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한번의 발작으로 공황장애라고 진단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우울장애, 조헌병, 조울장애 등도 모두 공황발작을 동반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공황발작을 유발하는 약물에 대해 살펴보자면 카페인 및 각성제가 있으며 알코올 금단 증상도 공황발작과 유사합니다.

 

감별해야 할 의학적 상태로는 심혈관, 호흡기, 신경학적 및 내분비 질환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황장애 진단이 추정이 되어도 내과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평생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공황장애는 대체로 청소년기 후기나 초기 성인기에 시작됩니다.

 

병의 경과가 다양하기는 하나 만성적인 경향을 가지는 경우가 흔하며 대체로 30~40%는 증상이 없어지고, 약 절반은 증상이 있으나 가벼워 생활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10~20%는 증상이 계속 심한 편이라고 합니다.‘공황’이란 갑자기 심한 공포감을 경험하여 합리적 생각이 마비될 정도의 심한 두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교통사고 화재 등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의 상황에서는 정상 반응이라고 볼 수 있지만,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 같은 곳에서 공황발작을 경험한다면 불안반응이 오작동한 것으로 볼 수 있어서 공황장애로 의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공황발작을 호소하는 사람이 내원하면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약물과 내외과적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한번의 발작으로 공황장애라고 진단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우울장애, 조헌병, 조울장애 등도 모두 공황발작을 동반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공황발작을 유발하는 약물에 대해 살펴보자면 카페인 및 각성제가 있으며 알코올 금단 증상도 공황발작과 유사합니다.

감별해야 할 의학적 상태로는 심혈관, 호흡기, 신경학적 및 내분비 질환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황장애 진단이 추정이 되어도 내과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평생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공황장애는 대체로 청소년기 후기나 초기 성인기에 시작됩니다.

병의 경과가 다양하기는 하나 만성적인 경향을 가지는 경우가 흔하며 대체로 30~40%는 증상이 없어지고, 약 절반은 증상이 있으나 가벼워 생활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10~20%는 증상이 계속 심한 편이라고 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공황장애 (국가정신건강서비스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