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약초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 왕고들빼기

국화과

 

속명 - 압자식, 산생체, 고개체, 사라구, 수애뚱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대개는 낮은 곳의 길가 초원

높이 - 150cm 안팎

생육상 - 두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9~10월

특징 -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잎 줄기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옵니다.

용도 - 식용, 약용

효능

풀 전체를 건위, 최면, 진정, 발한, 이뇨, 창종 등의 약으로 씁니다.

 

*건위(健胃) -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기 위한 처방.

*최면(催眠) - 잠이 오게 함. 잠을 재촉함.

*진정(鎭靜) - 몹시 소란스럽고 어지러운 일을 가라앉힘.

*발한(發汗) - 병을 다스리려고 몸에 땀을 내는 일.

*이뇨(利尿) - 오줌을 잘 나오게 함.

*창종(瘡腫) - 헌데나 부스럼

민간요법

왕고들빼기의 부드러운 잎이나 새싹을 생식하거나 식사 때 채소 대용으로 많이 먹으면 건위제 및 강장게가 되고 위궤양 및 만성 위병에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많이 먹으면 잠이 많이 옵니다. <민간약초>

그외의 왕고들빼기에 관한 정보

왕고들빼기는 유럽 원산의 재배종 상추와 같은 속인데, 중국 한자명 산와거(山莴苣)가 ‘야생에서 나는 상추 종류’란 뜻입니다. 식물체에 상처를 내면 쓴 맛이 나는 흰 유액(lactose)이 나옵니다. 속명 락투카(Lactuca)는 그런 특징에서 붙여진 라틴어입니다.

 

왕고들빼기는 사람을 따라다니는 전형적인 터주식생에서 어우러져 삽니다. 남부지방으로 가면 점점 더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남북으로 펼쳐진 한반도에서 지구온난화 덕택에 점점 더 북쪽으로 분포영역을 넓혀가는 중입니다.

 

왕고들빼기는 한해살이면서도 대형으로 약 2m까지 신속하게 성장합니다. 그래서인지 줄기 속이 비어 있어 덩치에 비해 가벼운 편입니다. 봄철에 뿌리를 캐보면 두 갈래로 굵어진 독특한 모양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곤봉이 2개 붙어 있고, 다시 그 언저리에 1· 2개가 더 생겨 있기도 합니다.

 

마치 산삼 뿌리처럼 생긴 경우도 있습니다. 한해살이 가운데 가장 비후(肥厚)하고 큰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옥한 땅에서 건조하지 않는 적습(適濕)의 수분환경이라면 더욱 큰 뿌리를 만듭니다. 이른 봄부터 왕성하게 광합성을 해서 뿌리에 영양분을 잔뜩 저장해 여름이 되면 크게 성장할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왕고들빼기를 자르면 하얀 진액이 많이 흘러 나오는데 인삼의 사포닌 성분과 당뇨에 좋다는 이눌린 성분이라고 합니다. 이 하얀 진액의 성분은 혈관질환과 우리 인체에 많은 이로움을 줍니다. 수면효과에 도움이 되고 우리 몸을 안정 시켜주는 진정제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왕고들빼기는 폐와 간, 췌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산삼 못지 않는 좋은 효능을 발휘합니다. 생채를 쌈으로 먹기도하고 김치로도 담그기도 합니다. 생체를 삶아 무침으로도 먹고 말려서 차로 마시고 즙을 만들어 먹을 수 도 있습니다. 건나물로 고사리처럼 볶아서 먹을 수도 있습니다. 쓴맛이 강하지만 쌉싸름한 맛을 좋아하시는 분들게 추천합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사포닌, 이눌린,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토코페놀 등 몸에 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습니다. 토코페놀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암을 예방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막아주오 암치료의 효능도 좋다고 합니다. 사포닌과 다량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서 발암성 물질을 억제하고 위장과 소화기능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건위 작용으로 체내의 독소를 배출하며 식욕을 돋우는 효능이 있고 장염, 두통, 열, 편도선염, 인후염 등 염증과 통증 억제에 도움을 주어 심신 안정에도 도움을 줍니다. 뿐만 아니라 아눌린이 함유되어 있어 천연 인슐린의 역할을 하여 체네 혈당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들빼기와 고들빼기는 국화과에 속하고 이름은 비슷하나 종은 완전히 다른 종입니다. 왕고들빼기는 '아주 큰 고들빼기'라는 의미로 쓰이나 융기아속을 대표하는 고들빼기의 종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다른 속의 종입니다. 고들빼기는 고돌채에서 고돌빼기, 고들빼기로 바뀌어 온 것이며 '무슨 빼기' 또는 '무슨 뱅이'는 앞에 붙은 말의 성질을 나타내는 사물이나 사람을 의미하는 접미사입니다. 고돌이란 표현은 맛이 쓰다는 표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