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작두콩

 

도두(刀豆) - 작두콩

 

콩과

 

속명 - 협검두(挾劍豆), 도두자(刀豆子), 대익두(大弋豆)

분포지 - 한국(밭 재배), 열대아시아, 아프리카, 인도지방 등

높이 - 2~3m

생육상 - 한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꽃색 - 연한 홍자색 또는 흰색

결실기 - 9~10월

특징 - 콩깍지의 생김새가 작두와 닮았다하여 작두콩이라합니다.

용도 - 식용, 약용

 

효능

 

예로부터 작두콩을 치질, 축농증, 중이염, 위염, 대장염. 만성 설사, 월경중단, 식체 등의 약으로 쓰입니다.

 

민간요법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은 없습니다.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장위를 통하게 하고, 딸꾹질을 멈추고, 신장의 기운을 복돋우며 원기를 보합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

 

그외의 작두콩에 관련된 정보

 

작두콩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입니다.

 

꽃은 7~8월 사이에 피며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자라 총상으로 달립니다. 꼬투리는 끝이 굽어 있거나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고 10~14개 내외의 콩이 들어 있습니다. 콩은 지름 3cm 정도로 일반적인 콩보다 크기가 큽니다.

 

작두콩에는 적색종과 백색종이 있는데 콩과 줄기의 색이 붉으면 적색종, 콩이 희고 줄기의 생이 푸르면 백색종이라 합니다. 

 

적색종은 콩보다 꼬투리에 영향이 많아 꼬투리를 주로 약재로 이용하고, 백색종은 꼬투리보다 콩에 영향이 많아 콩을 주로 섭취합니다.

 

작두콩을 삶아서 간식처럼 먹거나 된장의 재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물에 불린 뒤 쌀과 함께 섞어 밥으로 지어 먹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콩을 가루로 내어 물이나 우유에 타먹거나 요리 시 첨가하여 먹어도 좋습니다.

 

'칼처럼 생겼다'하여 작두콩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고려시대 왕실에서 약재와 식품으로 활용했으나 6·25 전쟁 이후로는 볼 수 없었던 작두콩입니다. 

 

그러다 1990년대 말 충청북도가 중국 헤이룽장성과 맺은 자매결연을 통해 작두콩을 선물받아 국내에서 다시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작두콩에는 사포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지방의 흡수를 지연시켜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일반 콩에 비해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 예방, 시력 개선,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 등 이로운 작용을 합니다.

 

뿐만아니라 영유아에게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히스티틴 성분이 어른들은 필요한 만큼 체내에서 합성이 되지만 어른이 아닌 영유아들은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를 해줘야하는 영양소인데 다른콩에 비해 작두콩에 무려 3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히스티딘 성분은 콧물이 나는 것을 억제해 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작두콩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도 많고 항산화 성분도 함유되어 비염과 축농증, 편도염, 중이염 같은 염증에도 효과가 뛰어납니다. 

 

같은 콩과인 대두, 서리태보다 작두콩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5~6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식품과학회지에 게재되기도 하였습니다.

 

한방에서는 생약명 도두(刀豆)라 하여 작두콩의 여문 씨를 말린것을 사용하는데 가을에 콩꼬투리를 따서 씨를 내어 말린 것을 사용합니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합니다.

 

위경(胃經) ·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하며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신기(腎氣)를 보합니다. 약리 실험에서 항종양 작용을 나타냈습니다.

 

허한성 딸꾹질, 토하는 데, 복부 팽만, 신허요통(腎虛腰痛),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에 쓰입니다. 하루 9~15g을 부스러뜨려 달여 먹거나 좀 거무스름하게 덖어서 가루를 내어 먹습니다.

 

도두각(刀豆殼)은 토하는데, 딸꾹질, 이질에 쓰며 도두근(刀荳根)은 머리와 허리 아픈 데, 이질, 타박상에 사용합니다.

 

그러나 작두콩은 따뜻한 성질이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약간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으로 섭취하지 말고 열을 가해 독성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껍질은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작두콩 [Sword bean] (두산백과)

도두 [刀豆]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