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약초

주변을 둘러 보면 보이는 약초 독활

 

독활(獨活) - 독활


오갈피과

속명 - 토당귀, 대활, 땅두릎, 인가목, 주마근
분포지 - 전국의 깊은 산 숲 가장자리에 자생, 밭에다 재배도 합니다.
높이 - 150c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꽃색 - 연한 녹생
결실기 - 9~10월
특징 - 전체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습니다. 땅에서 나오는 어린 순을 두릎과 같이 데쳐서 먹기 때문에 땅두릎이라 합니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효능

 


뿌리를 해열, 강장, 거담, 당뇨병, 위암 등의 약으로 쓰입니다.

*해열(解熱) - 몸에 오른 열을 풀어 내림.
*강장(強壯) - 몸이 건강하고 혈기가 왕성함.
*거담(祛痰) - 가래를 없앰.
*당뇨병(糖尿病) - 소변에 당분이 많이 섞여 나오는 병. 탄수화물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단백질인 인슐린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으로 소변량과 소변보는 횟수가 늘어나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전신 권태가 따르는 한편 식욕이 좋아집니다.
*위암(胃癌) - 위에 발생하는 암.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 점점 위 부위의 통증이나 팽만감, 메스꺼움, 식욕 부진 따위의 증상이 나타나며 토한 내용물이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수도 있습니다.

 

 

민간요법

 


흔히 중풍으로 입을 다물고 이를 꽉 깨물고 있는 환자에게는 독활의 말린 뿌리 10g, 계피 4g을 같은 양의 술과 물 0.2리터 정도에 넣고 그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이것을 소주잔으로 한 잔씩 먹이면 효과가 있습니다. <약초지식>

어린순을 연하게 말린 것을 생으로 먹으면 강장제가 되고 두통, 감기, 류머티즘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식이요법>

 

그외의 독활에 관한 정보

 


땅두릅이라고도 하는 독활은 산에서 자랍니다. 높이는 1.5m이고 꽃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약간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100cm, 나비 3∼20cm이며 홀수2회깃꼴겹잎으로서 어릴 때에는 연한 갈색 털이 있습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자루 밑부분 양쪽에 작은 떡잎이 있습니다.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독활이라고 부릅니다. 이른봄 어린 순은 식용하며, 가을에 잎이 죽은 다음 흙을 덮어서 어린 순이 길게 자랄 수 있도록 합니다.

뿌리는 약용하는데, 근육통· 하반신마비· 두통· 중풍의 반신불수 등에 많이 쓰입니다.

독활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하는데 바람이 없을 때에는 홀로 움직인다하여 독요초(獨搖草)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강(羌)에서 나는 것이 좋은 것이어서 강활(羌活)이라 부르기도 하였다는 기록도 있지만 현재는 전혀 다른 약으로 구별하여 사용합니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이두 명칭은 호경초(虎驚草)인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지두을호읍(地頭乙戶邑)이라고도 하였습니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는데, 동물실험에서 진통·진정 작용과 혈관확장작용,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쓰고 매우며 근육통이나 마비에 많이 쓰이는데, 특히 목 주위의 근육이나 허리·척추·무릎의 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하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에 적용됩니다.

그리고 두통이 심하여 머리가 조이는 듯이 아프고 어지러우며, 혀에는 백태가 끼는 감기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강활(羌活: 미나리과의 풀)에 비하여 해열· 발한 작용이 약하고 완만하므로 강활과 합해서 쓰면 신경통 치료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독활은 체내의 수분을 배설하는 효능이 강활보다 강합니다.

중풍의 반신불수와 피부의 소양증에도 널리 쓰이는데, 성질이 온화하므로 한여름에는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중풍의 반신불수에 쓰이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과 안면신경마비에 쓰이는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이 있습니다.

독활은 긴 원주모양, 막대모양을 하고 바깥면은 회백색에서 회갈색을 띠며 세로주름과 잔뿌리 자국이 있습니다.

독활의 이명으로는 강청(羌靑), 강활(羌活), 독요초(獨搖草), 독활(獨滑), 장생초(長生草), 호강사자(護羌使者), 호왕사자(胡王使者) 등이 있습니다.


출처

독활 [獨活]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독활 [獨活] (두산백과)

반응형